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교복(동복.하복) 사양서
1. 섬유 혼용률
구 분
섬유 혼용률
(*중요 재료 혼용율만 제시)
비 고
하 복
상의(셔츠)
폴리에스테르 65% 이상
하의(스커트, 바지)
울 50% 이상
춘추복
상의(블라우스)
* 동복 셔츠와 동일
폴리에스테르 75% 이상
조끼(여)-직물
울 50% 이상
니트 조끼로 통일
동 복
상의(자켓)
울 80% 이상
하의(스커트,바지)
울 50% 이상
안 감
폴리에스테르 95% 이상
춘추복 넥타이
곤색 하나로 통일
디자인과 색상은 동일하나 제작시 주의 할 사항
* 춘추복 여자 조끼는 니트 조끼로 통일
* 춘추복 넥타이는 곤색 하나로 통일함
2. 교복 규정
동 복
하 복
비 고
상의
동복상의 칼라부분 가장자리에 상침 함.
상의 안주머니 : 지퍼로 제작함
상의 앞도련 부분 : 직각으로 반듯하게 제작함
하복 제작 시 : 현재 박스형에서 허리라인을 살짝만 잡아서 제작바람.
치마
앞
동복스커트는 뒷트임 없이 H라인으로 넉넉하게 함.
허리사이즈 조절위한 치마 양쪽으로 단추를 부착함.
뒤
하복 앞쪽 장식용 단추는 아래에서부터 20cm 위치에 박음.
블라우스 및 넥타이
조끼
춘추복 브라우스와 조끼임(니트로 통일) 넥타이는 곤색으로 통일
3. 제작 시 유의사항 (학교 교복 규정에 따름)
<상 의>
① 길이
- 하복, 춘추복(블라우스) : 상의의 끝단과 치마의 허리 부분이 5cm이상 겹쳐져야 함
- 동복(자켓) : 허리둘레선에서 엉덩이 둘레선 까지의 길이 중 2/3선까지 (단분 시접분량-3cm이상)
② 품
- 단추를 채우고 전체적으로 넉넉한 느낌을 주어야 하며 여유가 있어야 함(옆선 시접분량-양쪽 2cm이상)
③ 스타일
- 동복상의 칼라부분은 가장자리를 상침하고 상의 앞도련 부분은 직각으로 반듯하게 제작함
<스커트>
① 길이(하복, 춘추복 동일)
- 차렷 자세에서 무릎 중앙 가운데 뼈에서 위로 5cm 까지로 허용이 되어야 함 (단분 시접 분량 – 8cm이상 넉넉하게 )
② 품
- 전체적으로 활동하기 편하게 넉넉한 느낌을 주어야 하며 여유가 있어야 함(옆선 시접분량-양쪽 2cm이상)
③ 스타일
- 동 복 : 뒷트임 없이 H라인으로 하되 스커트 양쪽으로 허리사이즈 조절 위한 단추를 부착하여 여유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제작함
- 하 복 : 앞쪽의 장식용 단추는 스커트 아래에서부터 20cm 위치에 박음
<바 지> 희망자에 한하여 바지를 입을 수 있음
① 길이
- 복사뼈 아래를 덮을 정도의 길이. 통을 줄이지 않고 일자형으로 함(시접 분량 - 5cm이상)
② 바지통 : 8~8.5인치 정도
③ 하복바지는 본인의 의사에 따라 무릎까지 오는 길이로 줄일 수 있음
<기 타>
① 동복 상의 안감 색상 및 무늬를 통일해야 함
② 계약 시 낱개별로 가격을 표시해 줄 것(자켓, 블라우스1개, 스커트, 조끼)
③ 보령소재업체가 아닌 경우 A/S를 어떻게 해 줄 수 있는지, 몇 회까지 가능한지, 보령시에 A/S를 해 줄 수 있는 업체를 지정할 것.
④ 2023. 12월 초 신입생 합격자 발표 일에 신입생 교복 치수를 재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당일 불참한 학생은 추후 일정을 잡아 치수를 재게 함.
⑤ 교복 납품일은 2024년 2월 28일까지로 할 것.
⑥ 제안 설명 시 교복1벌을 샘플로 만들어 제출해야 함.(단, 견본 제작비용은 입찰참가자가 부담)
<품질기준 참고자료>(※자료제공 : 한국의류시험연구원, FITI 시험연구원)
1) Q마크
□ Q마크는?
공인인증시험검사기관인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서 의류제품의품질향상과 소비자 보호 및 제품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,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공장심사와 제품검사를 실시하여 부여하는 인증 마크입니다. 즉, 의류제품에 대하여 품질인증검사기준 및 방법에 따라 그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고 제품품질의 우수함을 소비자에게 알리기 위해 등록하는 품질인증마크입니다.
□ 품질인증
○ 품질표시의 적정함
⇒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 따른 품질표시 내용이 정확합니다.
⇒ 소비자가 표시사항대로 의류를 착용 또는 세탁 시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인증합니다.
○ 소재인증
⇒ 사용된 섬유소재가 표시내용과 같으며 세탁 시 물 빠짐 정도가 4급 이상으로 양호하고 수축의 정도는 직물의 경우 3%이내, 편성물의 경우 5% 이내로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.
⇒ 착용 중 보푸라기 발생은 4급 이상으로 양호합니다.
○ 제품인증
⇒ 바느질 땀수가 촘촘히 봉제되었으며 끝마무리가 깨끗합니다.
⇒ 완제품 세탁 또는 드라이클리닝 후 치수변화가 거의 없으며, 뒤틀어짐 등 외관 변화가 없습니다.
□ 품질관리
○ ISO 국제수준의 검사기준을 적용
○ 공장심사와 제품검사를 통하여 우수하다고 인증되는 업체를 선정
○ 지정업체는 품질관리를 위하여 연구원에 외관검사 및 시험분석을 신청자체 시험실 및 검사원을 이용할 경우는 연구원과 사전 협의하고 비교시험을 진행하여 기준의 적합성을 검증
○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가능 시험검사결과를 품질관리대장에 기록, 유지하여 불량품의 재발을 방지
○ 소비자 클레임 발생 시 품질관리 데이터의 추적이 가능하므로 생산자 또는 소비자의 책임소재가 가려져 분쟁의 해결이 쉬움
2) 품질 검사기준
시험 항목
상의
바지 , 스커트, 모직조끼
셔츠,브라우스
겉감
안감
겉감
안감
겉감
혼용률(%)
표시
기준
(소모) 모 60% :
폴리에스텔 40%
폴리 100%
모 60% :
폴리에스텔 40%
폴리 100%
스판-폴리 75% :
레이온 25%
(방모) 모 80% :
나일론 20%
-
일반-폴리 65% :
레이온 35%
표시
기준비례
±5 이내
±5이내
±5 이내
±5
이내
±5 이내
세탁견뢰도(급)
변퇴색
4 이상
3 이상
4 이상
―
4 이상
오염
4 이상
3 이상
4 이상
―
4 이상
마찰견뢰도(급)
건
4 이상
3 이상
․
․
․
습
3 이상
․
․
․
․
일광견뢰도(급)
4 이상
―
․
․
․
드라이크리닝
견뢰도(급)
변퇴색
4 이상
3 이상
4 이상
―
․
오염
4 이상
3 이상
4 이상
―
․
물견뢰도(급)
변퇴색
4 이상
4 이상
4 이상
4
이상
․
오염
3 이상
3 이상
3 이상
3
이상
․
수축률(%)
경사
방향
±3% 이내
±3%
이내
±3% 이내
―
±3% 이내
위사
방향
±3% 이내
±3%
이내
±3% 이내
―
±3% 이내
드라이크리닝
수축률(%)
경사
방향
±3% 이내
±3%
이내
±3% 이내
―
․
위사
방향
±3% 이내
±3%
이내
±3% 이내
―
․
인장강도(kgf)
경사 방향
18kg 이상
―
18kg이상
―
15.9kg 이상
위사 방향
18kg 이상
―
18kg이상
―
15.9kg 이상
필링(급)
4 이상
―
4 이상
―
4 이상
인열강도(gf)
경사
1000gf 이상
―
․
․
․
위사
1000gf 이상
―
․
․
․
내드라이성(%,급)
수축율
±3% 이내
․
․
․
형태 변화
4 이상
․
․
․
니트, 조끼, 가디건 혼용률 : 울 50% : 아크릴 50%
3) 시험*항목별 설명
시 험 항 목
시험항목 설명
재 료
혼 용 률
► 원단을 조성하는 섬유의 종류와 그 함유량을 알아보는 시험
염색 견뢰도
세 탁
► 세탁에 의한 변색, 이염을 알아보는 시험
마 찰
► 염색물이 마찰에 의해 표면에서 다른 천으로 이염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땀
► 인공 땀에 의해 염색물이 변색 또는 이염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일 광
► 원단이 일광에 의해 변색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물
► 물에 의해 염색물이 변색 또는 이염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드라이
클리닝
► 드라이클리닝에 의해 염색물이 변색 또는 이염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승 화
► 염색물이 보관 중에 염료가 승화되어 이염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물리 및 형태
안정성
치수 변화율
► 원단이 세탁, 드라이클리닝에 의해 줄거나 늘어나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필 링
► 원단이 마찰에 의해 섬유가 빠져나와 보풀이 생기는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
발 수 도
► 원단의 표면에 물을 뿌려 물이 묻는 정도를 알아보는 시험
내 수 도
► 물의 누수 또는 침수에 대한 직물의 저항성을 알아보는 시험
파열 강도
► 원단의 면에 수직으로 압력을 가해서 파괴될 때의 강도를 알아보는 시험
인장 강도
► 잡아당기는 힘을 견디는 능력으로 원단이 절단될 때의 힘을 알아보는 시험
인열 강도
► 원단을 찢을 때 필요한 힘을 알아보는 시험
실미끄럼 저항도
► 봉제품의 봉제부위에 외부압력을 가할 경우에 원단의 미어짐을 알아보는 시험
* 원단 이화학 및 물성 성능시험